2018. 2. 7. 11:24ㆍ나의 이야기/나의글
자작나무 아래서
소설이나 시에 많이 등장하는 자작나무 어떻게 생긴 나무일까? 브리태니커사전을 찾아보니 영명은 Japanese white birch라고 부른다. 키는 20m에 달하고 수피가 흰색이고 꽃은 4, 5월경에 암수가 따로 핀다. 수피가 흰색이라 무리지어 핀 게 장관이라 한다.
내가 자작나무를 처음 본 것은 시카고 보타닉가든에서다. 무리지어 있지는 않지만 영국정원을 가기 전에 작은 언덕에 그리고 라군(lagoon)이 있는 작은 섬에 자작나무가 많이 있다. 상상을 했던 것처럼 그렇게 멋있지는 않아도 자작나무 아래에 피는 꽃들이 자작나무와 어우러진 풍경이 참 멋이 있다.
자작나무 아래의 봄은 하얀 수선화로 시작을 한다. 눈보다 더 하얀 수선화들이 연 녹색의 자작나무 잎들과 어우러져서 길고 길었던 지난 겨울을 얘기하고 바람이 불면 자작나무 잎들과 함께 춤을 춘다.
하얀 수선화가 지고나면 작은 고사리들이 다투어 올라온다 그리고 자작나무의 녹색 잎을 닮은 연녹색의 고사리들이 여름이 오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고사리들이 더 진한 녹색으로 물이 들기 시작하면 연녹색의 아나벨라수국이 하나씩 자작나무 아래를 채워준다. 여름의 장대비를 맞으면서 아나벨라수국의 녹색은 색이 바라서 눈과 같은 하얀색으로 변한다.
선들선들한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눈처럼 하얀 아나벨라수국은 단풍이 든다.. 자작나무도 겨울을 준비하느라 나목으로 변한다. 하얀 수피는 그대로 남기고,,
겨울이 지나고 봄의 단장이 시작되면 자작나무 아래에는 색색의 디기탈리스가 나목의 쓸쓸함을 달래준다. 봄이 오고 있다고....
2015년
|
'나의 이야기 > 나의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에, 고드름, 눈 그리고 피아졸라 망각 .. (0) | 2018.02.11 |
---|---|
폭설전야(暴雪前夜)에... (0) | 2018.02.09 |
성급하기는...“우물가에서 숭늉 찾겠네,” (0) | 2018.01.24 |
내가 피운 불루파피를 나의 카메라에 담고 싶다.. (0) | 2018.01.20 |
애국자 "Master Lee". (0) | 2018.01.09 |